개발자 해콩(331)
-
[생활코딩/SQL] MySQL - 데이터베이스의 목적, 설치
MySQL - 데이터베이스의 목적, 설치 데이터베이스의 목적 스프레드 시트와 데이터베이스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데이터를 표로 표현해준다. 차이점 스프레드시트 → 사람이 클릭해서 제어해야한다. 데이터베이스 → 컴퓨터 언어로 제어할 수 있다. MySQL 설치 MySQL 실행 상태 확인 터미널에서 MySQL 모니터로 진입 터미널에서 위와 같은 커맨드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mysql 터미널로 로그인할 수 있음
2021.08.09 -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장 - 서버 (디스크의 종류, RAID)
디스크의 종류 아무래도 나온지 오래된 책이다보니까 특히 이부분은 되게 오래된 내용들이다. 그래도 정리는 해두자 SATA 하드디스크 SATA(Serial ATA) SAS(Serial Attached SCSI) 하드디스크보다 가격이 저렴하므로 중요하지 않은 서버에서는 일부러 쓰기도 함 SAS 하드디스크 고속 동작 신뢰성 높음 24시간, 365일 가동용 FC 하드디스크 처음 들어봤다 ㅋㅋㅋㅋㅋ FC(Fibre Channel) 초고속 동작, 신뢰성 높음 그 밖의 디스크 니어라인 하드디스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중간 상태인 니어 온라인(near-online)이 정의되고, 그 상태에 적합한 하드디스크 주로 아카이브의 장기 보존 용도를 전제 NL-SATA, NL-SAS SSD 이게 그밖의 디스크라니.. SSD(Soli..
2021.08.08 -
[생활코딩/SQL] Database1 강의 정리
Database1 - 2. 데이터베이스의 본질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어떻게 입력하고 어떻게 출력하는가를 따져보는 것이 본질 입력 데이터의 생성 (Create) 데이터의 수정 (Update) 데이터의 삭제 (Delete) 출력 데이터를 읽음 (Read) → C R U D 강의 영상 https://youtu.be/2S6H6URQiY8 Database1 - 3. file vs database File 원하는 정보만을 꺼내서 보기 어렵다. Database 스프레드시트 → 필터처럼 원하는 부분의 데이터만을 꺼내어 보기 쉽다. 컴퓨터 언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관리 → 자동화를 할 수 있다. 강의 영상 https://youtu.be/skKfHer90eM
2021.08.07 -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장 - 서버 (CPU, 메모리)
CPU 연산을 대량으로 빠르게 처리하는 장치 구조 파악, 적합한 선택 기준 파악하기! 성능과 발열, 소비 전력 연산 능력이 높으면 고성능 CPU 연산 능력 높아짐 → 발열 소비 전력 커짐 ⇒ 성능은 높이고 발열과 소비 전력은 줄이는 방향으로 진화! 하지만 동작 주파수를 올려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보다 그에 따른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단점이 더욱 커지게 됨 → 동작 주파수를 제한하고, 멀티코어나 멀티스레드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CPU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연산 개수를 늘려서 연산 능력 향상! CPU 용어 소켓 수 CPU의 개수 코어 수 CPU의 주요 계산 부분 코어가 여러개 있으면 '멀티코어' 스레드 수 하나의 코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수 하이퍼쓰레딩 기능이 있으면 코어 수가 배..
2021.08.06 -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장 - 서버 (서버의 종류, 서버의 선정)
이번 장은 양이 워낙 많아서 적당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해서 정리해야겠다! 서버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하드웨어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IT인프라의 주축 서버의 종류 랙 마운트형과 타워형 서버의 차이 랙 마운트형 데이터 센터나 서버 룸에 설치된 랙 안에 들어감 19인치 랙에 수용하는 것이 전제 조건 1U (= 1.75인치 = 44.45mm), 2U처럼 유닛 단위로 사이즈 존재 타워형 사내 서버 룸이나 사무실, 점포 등에 설치됨 이런 경우에는 저소음 서버를 이용하는게 좋음 엔트리, 미들레인지, 하이엔드 서버 엔트리 서버 주로 웹 서버나 어플리케이션 서버 소켓 단위로 1~2개의 CPU 탑재 가능 미들레인지 서버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기간계 서버 기간계 시스템 = 기간 업무 시스템 = 재무관리..
2021.08.04 -
[원격접속/GUI] 우분투 원격 접속 할 때 화면(GUI) 띄우기 - X11 포워딩
이직한 뒤로는 원격 접속을 할 일이 많아졌는데, 늘 터미널로 모든 작업을 하다보니 많이 익숙해지긴 했다. 그래도 가끔은 GUI를 띄워서 작업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 있었고, 그런 경우는 자리에서 벗어나서 해당 PC에 가서 작업을 하거나, 재택을 하는 경우에는 아예 작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있었다. 그래서 원격접속할 때에도 GUI를 띄워서 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봤고, X11 포워딩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크게 두 부분에서 세팅이 필요하다. 내가 쓰고 있는 PC(클라이언트) 세팅과 원격 접속으로 접속하려는 PC(호스트)에서의 세팅이다. 순서대로 알아보자. 내가 쓰고 있는 PC (클라이언트) 세팅 SSH 설치 먼저, SSH를 설치해야한다. 그래야 호스트 PC로 접속할 수 있으니까! su..
202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