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31)
-
[200622] 오늘의 헬스
오늘은 등 아래쪽과 어깨를 주로 하고, 복근이랑 삼두를 살짝씩 약올려줬다. 얼른 운동 잘해져서 언더아머 입어야지. 알 수 없는 등운동 기구 기본 바로 10개 2세트 10키로 꽂고 10개 3세트 숄더 프레스 기구 30키로 3세트 25키로 2세트 Rear Deltoid 기구 (후면 어깨 자극 주려고 함) 30키로 3세트 25키로 3세트 래터럴 레이즈 기구 30lbs 4세트 행잉 레그레이즈 5개씩 3세트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65lbs (30kg) 줄같은거로 2세트
2020.06.22 -
[C언어 스터디 - 02] 2차원 배열 (2D Array)
2차원 배열 참고 문헌 (Ch37):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306 2차원 배열의 선언 및 요소 접근 배열 선언: (자료형) (배열이름)[행 크기][열 크기] = 초기 값; int numArr[3][4] = { // 3행 4열 짜리 행렬을 선언 { 가로 요소 4개 }, // 첫번째 행의 초기 값 { 가로 요소 4개 }, // 두번째 행의 초기 값 { 가로 요소 4개 }, // 세번째 행의 초기 값 }; // ↑ 세로 3줄 원소 접근: (배열이름)[행 인덱스][열 인덱스] int num1 = numArr[1][2]; // 2차원 배열에서 세로 인덱스 1, 가로 인덱스 2인 요소에 접근 #include int main() { int numArr[3][4] = {..
2020.06.22 -
머신 러닝 공부 진행 중
딥러닝에 대한 관심은 예전부터 있었고, 이런저런 공부들을 했었는데 워낙 멍청해서 잘 이해도 안되고 쓰지도 못하겠더라. 공부할 자료를 찾다가 기초부터 차근차근 쌓아가자라는 생각에 Standford university의 Andrew Ng 교수님이 제작한 Machine Learning이라는 수업을 Coursera에서 듣고 있다. 권장 진도보다 1주 정도 앞서서 진행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회사에 있는 시간 말고 따로 시간을 내서 하다보니 더 빨리 진도를 나가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ㅠㅜ 프로젝트도 스스로 하나하나 해보고 있어서 시간이 더 걸리는 것 같다. Coursera에서 듣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내가 어떤 분야를 공부했다는 것을 공식적인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서이다. 구글링을 통해서도 공부할 수 있고, 그런..
2020.06.21 -
Tistory 블로그 마크다운 테스트
c언어 공부할 때 기존에 작성해뒀던 마크다운 문서를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제공해주는 마크다운에 복사해서 넣었는데 (원본: https://sunandbean.github.io/2020/01/09/c-01-array-1d/ -> 옮긴 페이지: https://sunandbean.tistory.com/185) 코드 블록이 어떤 언어로 인코딩 되어야 하는지 나타내주는 기능이 작동하지 않고, 헤더 사이즈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 같다 일단 기존에 작성된 방식을 그대로 옮겨두고 발행 예약 시켜둔 다음에 정보 좀 찾아보고 수정할 방법을 생각해봐야겠다. 확실히 코드 블록 작업할 때는 마크다운이 편하긴 하니까
2020.06.21 -
[C언어 스터디 - 01] 1차원 배열 (1D Array)
1차원 배열 참고 문헌 (Ch36):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292 배열의 선언 (자료형) (배열이름)[크기] = {초기값}; int numArr[10] = {1,2,3,4,5,6,7,8,9,10}; //정수형의 값을 10개를 가지는 배열을 선언하고, 초기값을 {1,2,3,4,5,6,7,8,9,10}로 지정 int numArr2[] = {1,2,3,4,5,6,7,8,9,10}; // 크기를 선언하지 않음 // 정수형의 값을 가지는 배열인데, 초기값을 {1,2,3,4,5,6,7,8,9,10}로 지정하고, 크기도 선언한 초기값의 크기와 동일하게 지정 배열 원소 접근 (배열이름)[인덱스] 10개를 선언 =>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9까지, 즉 첫번째 값이 0의 인..
2020.06.21 -
[개발/코딩/프로그래밍] 개발자의 글쓰기
이번 코로나 사태가 터지기 직전에 가까스로 회사에 입사할 수 있었다. 입사한 회사에서 내가 맡게 된 업무는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이다. 대학교, 대학원 시절에도 다양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해봤는데, 대부분 일회성 혹은 단기적으로 이용할 환경이어서 유지보수 보다는 기능 구현에 충실했었다.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을 하면서, 내가 구축한 환경을 다른 "많은" 사람들도 불편함이 없이 써야한다는 고민을 회사에 와서 거의 처음해봤다. 이런 고민을 안고 개발한 환경의 코드를 보니 다른 사람들이 이용하기엔 너무 별로인 것 같아서 어떻게 하면 좋은 코드를 짤 수 있을지 고민하다 이 책을 찾게 되었다.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barco..
2020.06.21